오늘 인터넷 뉴스에 '010 강제 통합 정책 수립' 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요는 2010년 2월 010 가입자가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의 80%를 넘어섬에 따라 , 010 강제 통합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여론을 수집하고 정책을 결정한다는 내용이다. 뭐 이에 따른 반론도 기사에 있었는데 강제 통합정책은 행정편의와 경비 절감을 위한 사업자를 위한 정책 이라고 부정적 입장을 사회단체에서 표명했다고 한다.

  각 이동 통신 사업자간의 신경전과 기존 가입자간의 갈등을 불러 일으키는 010 번호 통합에 대해 과연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 보니, 몇개가 떠오른다.

첫번째로 가입자를 독점하다 싶이 한 SKT를 견재하기 위한 LGT, KT의 전략적 계획이다. SKT에서 가입자가 LGT나 KT보다 많으므로 이를 LGT와 KT는 어떻게 해서든 자신들 가입자로 유치하는게 목표일 것이다. 또한 SKT 가입자 중에는 011 번호에 대한 충성심 강한 보수층도 많다. 이동통신의 선두 첫 주자 였던 SKT는 그동안 011번호에 대한 브랜드 가치를 이동통신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서 내세웠다. 곧 SKT는 011. 이런 번호 브랜드 홍보는 많은 보수 가입자층에게는 어느새 각인되어 버렸고 후속 출발한 LGT, KT에게 있어서는 충성도 높은 보수 가입자를 SKT에서 이탈 시킬 만한 방법이 딱히 없었을 것이다.

두번째로 행정적 편의와 경비 절감을 가져올 것이다. 각 사업자마다 고유 번호를 가지게 되면 사회적으로 해당 번호를 지원하기 위한 전체적 수정작업이 필요로 하게 될것이다. 이는 국가적 엄청난 낭비를 가져오게 되었다. 사업측에서도 기지국 관리면에 있어서 많은 관리 비용이 발생한다. 기존 2G 장비와 새로운 3G 장비를 관리하기 위해 사업자들은 중복된 관리 경비가 지출됨은 당연한 얘기일것이다. 010 번호 통합은 사업자들에게 있어서 기지국내 2G 장비에 대한 관리 비용을 없앨 수 있는 좋은 기회 일것이다.

세번째로 단말기 제조사에게는 많은 매출을 올릴수 있는 기회일 것이다. 010 으로 번호를 통합함으로써 기존 가입자들은 단말기를 새로 바꾸어야 하는 상황이 어떤 방법이로든 발생하게 된다. 010 번호를 갖지 않는 기존 가입자들은 보통 단말기 수명이 평균 4~5년 으로 장년층이 많을 것이다. 새로운 기종의 단말기를 찾으므로 자주 바꾸는 10~20대에 비해 실질적 경제적 주체가 되는 장년층의 단말기 구입이 제조사 측에서는 반갑게 느껴지지 않을까 생각된다.

네번째로 차세대 이동통신 개발의 용이를 가져오지 않을까? 2G, 3G 가 혼재된 상황에서 차세대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각 기존 기술에 대한 고려도 해야 할것이다. 하지만 통합한 상태에서는 (3G로 통합될 경우) 차세대 기술 적용은 좀더 빨리 진행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건 뭐 개발자 입장에서의 개발 편의 위주라 생각된다^^)

  뭐 대충 생각난대로 적어 놓고 보니, 긴글을 작성하게 될지는 몰랐다. 사실 짧게 쓰려고 했던건데..
뭐 여튼 정말로 010으로 통합 작업이 시작될 것 같기는 한데 , 이게 강제로 통합이 가능 할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뭐 통합이 결정되는 과정도 엄청난 사회적 반대에 부딪힐것 같고 또한 설사 통합이 결정되어도 기존 사용자들의 핸드폰 단말기(3G) 구입에 따른 금전적 지출은 누가 책임져야 하는 걸까? 위에서 언급한대로 각 사업자간의 갈등구조에 의한거나 차세대 기술을 위한걸 굳이 사용자가 그 피해를 짊어 질 필요가 있을까 생각된다.

 

늘 연합뉴스에 한 IT 개발자의 절규가 담긴 내용의 기사가 등장했다. 한국에서 IT 개발자로 산다는건 인생을 포기하고 포기한 만큼의 인생을 돈으로 환산 받아 사는것 같은 느낌이 들어 너무 씁쓸하다. 매일 반복되다 싶은 야근 근무에 성과에 대한 금전적 보수도 없이 쉬는 날도 나와서 일해야 하는 업무량...

회사 이직 관계로 면접을 보면 회사 임원진들은 개발자로서 퇴근 시간은 9시가 적당하지 않냐라는 말을 당연시하게 한다. 이게 현실이다. 그들은 출근시간은 철저히 지키도록 강요하며 퇴근시간 만큼은 절대로 보장해 주지 않는다.


왜 이런 관행이 시작되었을까 곰곰히 생각을 해보게 되니 우선은 1990년대 후반에 터진 벤처 붐이 그 시작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 당시 수 많은 벤처 기업들이 생겨났다. 그 벤처기업의 대다수는 뚜렷한 수익구조 없는 기술력 하나로 승부하는 IT 기업들이 많았다. 또한 수익구조가 워낙 척박하다 보니 많은 직원을 두지 못하고 영세하게 운영하게 되고, 한 사람이 두.세 사람 몫의 일을 하게 되었다.


그런 환경에서 야근은 필수조건이 되었으며 , IT 벤처 붐이 일어난 시대에 개발인생을 시작한 개발자들은 어느 순간 개발자는 야근이 필수 지참 항목으로 당연시 하게 생각하게 되지 않았나 싶다.

또 하나는 개발자의 순수 열정이 불러온 화근이 아닌가 싶다. 개발자는 자신의 개발에 대한 열정이 가득하다. 목표를 가지고 꾸준히 앞만 보며 달려 결과물에 대한 희열을 느끼고자 하는 습성이 있다. 이 습성이 쉬는시간, 퇴근시간을 잊게 했으며, 회사는 어느순간 개발자는 시간을 잊을만큼 열정이 가득한 개체라고 판단하고 야근은 필수구나 라고 판단하게 되는 상황이 오지 않았을까?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IT야근은 필수로 당연시 되는 상황에서 IT 구조적 문제로 인한 근무 여건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어느 순간부터 정착된 이 관행을 누가 어떻게 개선할수 있을련지...그나마 정부부처 마저 없어져 버린 이 마당에...


한국의 개발자는 오늘도 야근을 한다....


지구의 반대편의 아이티 지진에 이어 칠레에서도 진도 8.8의 강진이 일어났다. 진도 8.8 이면 엄청난 지진이었는데 아이티에 비해 피해자는 많지 않다고 한다. 또한 캐나다에서도 진도 3.9에 이르는 지진이 일어 났다고 하는데 아이티 지진이 일어난지 얼마지나지 않은 시간에 우리나라 시흥과 천안, 울산, 제주도 근처에서도 지진이 일어난 적이 있다. 이렇게 지구 세계 곡곡에서 지구의 신음이 끊기지 않고 있다. 슬슬 지구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는건지 세계 환경 오염으로 인한 지구의 정화 작용 인지… 아니면 지구 지각 변화에 의한 현상인지… 휴!~~~~~

일본에서는 쓰나미로 인해 해안가 사람들 대피령이 울렸다고 한다.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난 일이 반대편 우리에게도 피해가 온다는 반증인 것 같다.  또한 아이티 지진이 일어난 후 한국에서도 지진이 일어났으므로 조만간 또 한국에서 지진이 일어날 것 같은 생각이 자꾸 드는데 ….


오늘 개그콘서트를 보다가 봉숭아 학당 “동혁이 형” 이라는 개그맨이 제시한 OECD 국가 통화량이 비슷한 15개국의 분당 음성 통화 요금 비교표를 보고 어이가 없었다.. 

image

위 표를 보면 2004, 2005, 2007, 2008년 평균 통화료는 1400이상대를 유지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은 초기 2004년은 한국보다 높은 통화료를 나타내지만 점점 통화료가 감소하는 수치를 볼 수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통화료가 점점 내려가는 수치를 나타내지만 왜 우린 현상 유지일까??? 점점 올라가지 않는 수치를 안 보인 것만 해도 다행이라고 생각해야 하는 걸까??

요즘 통신사에서 10초당 부과되는 요금을 초당 부과로 바꾼다고 한다. 기존에 8초만 통화를 하더라도 10초 이용료 18원 부과 되던걸 1초당 사용료를 부과하는 형태로 바꾼다고 하는데 이것도 어떻게 보면 우리 소비자에겐 유리하게 보이지만, 저 돈 독오른 통신사들을 보면 이용료 올리기 참 쉬워 지는 방법이다. 초당 2원 하던 요금을 3원으로 1원만 인상하더라도 10초당 10원이라는 인상률을 보이니 말이다. 애초 소비자를 위하는 통신사였다면 10초당 18원이란 이용료부터 내렸어야 진정성이 보이지 않았을까??

+ Recent posts